발전 사업 소개 및 특징

삼천포발전본부는 국내 최초 유연탄 전소 대용량 석탄화력발전소로서 산업부문의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던 1978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의 청정해역에 560MW급 1,2호기를 착공하였습니다. 1984년 1,2호기 준공 이후 지속적인 후속기 증설을 통하여 전력소비량 증가에 대응하는 한편, 품질 좋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공정관리와 생산 전력의 고품질화에 매진 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초석을 다지는 역할을 수행하여 왔습니다. 총 6개 호기를 보유 중이었던 삼천포발전본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의거하여 2021년 4월 30일 1,2호기가 폐지되었으며, 2027년 폐지 예정인 3,4호기를 대체할 고성천연가스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위치 |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 952번지 |
---|---|
폐지연도 |
1호기 : 2021.04.30 2호기 : 2021.04.30 3호기 : 1993.04 4호기 : 1994.03 5호기 : 1997.07 6호기 : 1998.01 |
시설용량 | 2,154MW |
사용연료 | 유연탄 |
설비 현황
구분 | 항목 | 설비개요 | ||||
---|---|---|---|---|---|---|
3·4 호기 | 5·6 호기 | |||||
터빈/발전기 | 형식 | 반동․재생재열 증기터빈, 고정자 수냉각 | ||||
회전자 수소냉각, 전폐3상 동기발전기 | ||||||
용량 | 560MW × 2기 | 500MW × 2기 | ||||
회 전수 | 3,600 rpm | |||||
정격전압 | 22kV | |||||
보일러 | 형식 | 강제순환, 드럼형, 반옥외형, 평형통풍 | 초임계압, 관류형, 반옥외형, 평형통풍, 변압운전 | |||
용량 | 1,796톤/h × 2기 | 1,720톤/h × 2기 | ||||
사용연료 | 석탄 | 저유황탄 | ||||
증기압력 | 177.9kg/㎠ | 255kg/㎠ | ||||
주변압기 | 형식 | 강제송유풍냉식 | ||||
용량 | 660.8MWA×2 | 610.4MWA×2 | ||||
정격전압 | 21kV/345kV | 21kV/345kV | ||||
태양광 발전설비 | 형식 | 제1태양광 | 제2태양광 | 제3태양광 | 제4태양광 | 제5태양광 |
80Wp×1,320EA | 225Wp×4,4400EA | 250Wp×1,400EA | 250Wp×7,400EA | 320Wp×33,000EA | ||
시설용량 | 100kWp | 990kWp | 350kWp | 1,850kWp | 10,586kWp | |
소수력 발전설비 | 형식 | Kaplan 수차 및 3상 교류 유도발전기(1,000kW) 각 5대 | ||||
시설용량 | 정격용량 6,000kW(1,000kW×5대) |
연료 설비 현황
항목 | 설비개요 | ||
---|---|---|---|
3·4 호기 | 5·6 호기 | ||
터빈/발전기 | 10만톤급, 5만톤급 각 1선좌(580m) | 10만톤급 1선좌(365m) | |
CSU하역능력 | 연속식 1,500톤/h×2기 | 연속식 1,000톤/h×2기 | |
Stacker and Reclaimer 용량 | 저탄·상탄×2 - 저탄 : 1,650톤/h - 상탄 : 1,800톤/h |
저탄·상탄×2 - 저탄 : 2,200톤/h - 상탄 : 2,400톤/h - 상탄×1기 : 2,400톤/h |
|
저탄장 | 면적 | 85,400㎡(25,900평) | 106,000㎡(32,000평) |
규모 | 최대 저탄량 : 60만톤 적정 저탄량 : 31만톤 |
최대 저탄량 : 43만톤 적정 저탄량 : 23만톤 |
|
연료유저장소 | 원통형 3개(총저유량 7,000㎘) | 원통형 1개(총저유량 5,000㎘) |
환경 설비 현황
구분 | 규격 및 용량 | |
---|---|---|
탈황설비 | 설치호기 : 제1~4호기, 효율 : 91% 형식 : 습식 석회석-석고법 허용기준(SOx) : 40ppm(#3.4), 22ppm(#5,6) |
|
탈질설비 | 설치호기 : 제1~4호기, 효율 : 73.3%(#1, 2), 72%(#3, 4) 형식 : 선택적 촉매환원법 허용기준(NOx) : 59.5ppm(#3,4), 15ppm(#5,6) |
|
전기집진기 | 설치호기 : 제1~6호기 효율 : 99.66%(#1, 2), 99.43%(#3, 4), 99.64%(#5, 6) 형식 : 건식, 저온, 수평 허용기준(Dust) : 11㎎/S㎥(#3,4), 5㎎/S㎥(#5,6) |
|
TMS | 굴뚝 | 측정개소 : 제3~6호기 8개소 (굴뚝별) 전송항목 : SO2, NOx, 먼지, 산소, 유량, 온도 |
주변환경 | 측정개소 : 6개소 (전광판 : 2개소) SOx, NOx,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오존(O3), 일산화탄소 |
|
폐수처리 설비 | 발전 | 처리용량 : 2,400㎥/일, 저장용량 : 9,300㎥ |
탈황 | 처리용량 : 624㎥/일 | |
폐기물보관소 | 옥내 : 2,200㎥ 옥외 : 700㎡(2개소), 해초류 건조장 : 1,000㎡ |
|
회정제설비 | 처리용량 : 80톤/hr×2기 저장용량 : 정회제 5,000톤, 잔사회 5,000톤, 비회 2,400톤 |
|
소포제주입설비 | 주입용량 : 6ℓ/분×2기 저장조 : 20㎥×1기 / 용해조 : 7㎥×1기 |
|
누유방제장비 | Oil Fence : 940m(법적기준 460m) 유흡착제 : 322kg 유처리제 : 2,654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