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화력발전

복합화력발전에 대한 발전원리 설명 그림. 이 그림은 복합 사이클 중 가장 대표적인 가스터빈 사이클과 증기터빈 사이클을 결합하여 하나의 발전 플랜트로 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음. 컨텐츠 수급 필요 컨텐츠 수급 필요 컨텐츠 수급 필요 컨텐츠 수급 필요
컨텐츠 수급 필요
발전원리

복합발전이란 열효율 향상을 위해 두 종류의 열 사이클을 조합하여 발전하는 것을 말한다.
복합 사이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가스터빈 사이클과 증기터빈 사이클을 결합하여 하나의 발전 플랜트로 운용하는 방식이다.
가스터빈을 주체로 하여 복합 사이클을 형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스터빈 효율은 현재의 30%이며,가스터빈의 열 사이클은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로 압축기,연소기, 터빈을 통해 이루어진다. 터빈으로 공급되는 연소가스 온도가 1,000 C 이상이고,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온도는 500 C 이상으로 배기가스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남아 있는 많은 열량이 다른 일을하지 않고 대기 중으로 버려지는 결과로 열효율이 낮다.

가스터빈으로부터 버려지는 열량의 일부를 회수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기가스를 배열회수보일러(HRSG:heat Recovery Steam Generator)로 보내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을 돌린다. 고온 가스를 이용하여 가스사이클에서 한번 발전한 후 증기 사이클에서 다시 이용하여 총 두 번에 걸쳐 전력을 생산하므로 열효율이 높아진다.